Welcome to Wikimedia Commons, D6283!

-- Wikimedia Commons Welcome (talk) 00:17, 1 September 2019 (UTC)Reply

감사합니다. edit

D6283님께서 힘들게 만들어주신 지도 덕분에 위키미디어와 백과사전이 더 풍성해졌습니다. 바빠서 이런 말을 늦게하네요. 코로나-19로 지치셨겠지만 모니터 안의 누군가도 D6283님을 항상 응원한다는 사실을 기억해주신다면 감사하겠습니다. 다시 한번 그래픽과 지도 제작에 감사합니다.--고려 (talk) 23:54, 14 April 2020 (UTC)Reply

언제나, 응원에 감사합니다. D6283 (talk) 01:00, 18 April 2020 (UTC)Reply
잠시 쉬시는 데 기운차리시고 다시 왕성한 활동 기대하겠습니다 ㅋㅋ.--고려 (talk) 02:13, 18 April 2020 (UTC)Reply

한국어판 위키백과에서 토론 남기셔서 ㅎㅎ edit

제 차단에 대해서는 저와 다른 이에 대한 인신공격 및 선거 개입을 폭로하셨던 분의 토론에 참여했는데 이게 이렇게 되네요... 사관 신청 넣은 지 오래된 걸 갑자기 처벌한다고하니 ㅋㅋ... 읽어보시면 알겠지만 저를 이상하게 생각하지 않았으면 합니다 ㅎㅎ;; 여튼 미리 만들어두시길 잘하셨네요. 이걸 나라에서 굳이 날릴 필요가 있나?? 싶네요 ㅋㅋ--고려 (talk) 04:44, 9 September 2021 (UTC)Reply

이번 대통령 선거를 준비하면서 그리 된 것인지, 하여간 선거통계시스템 누리집이 갱신되면서 2010년 이래 재보궐선거 기록도 확인할 수 있게 됐네요. 왜 2010년인가 싶기도 하지만, 확인할 수 있는 기록이 늘어났다는 점에서 나쁘지는 않지 생각합니다. D6283 (talk) 02:22, 4 February 2022 (UTC)Reply

지도를 두개나 만드셧네요. edit

1910년대 지도는 자료도 구하기 힘들었을텐데 고생많으셨습니다.--고려 (talk) 08:24, 14 December 2021 (UTC)Reply

1910년대 후반기 지형도에서 해안선과 면계를 손수 트레이싱해서 당시 관보에 수록된 공문과 Category:부군면 통폐합의 지도 등을 근거로 시대(1917년말, 1914년 4월)에 맞게 되돌리는 작업을 가했습니다. 다음 지도는 1913년말(1914년 1월로 볼 수도 있겠습니다)이 될 것인데 더욱 추정에 의지하게 되네요. 각 도형들이 다 다각형이다 보니 해안선과 도계가 같은 색으로 그려질 수밖에 없는데, 이 때문에 목포 주변 같은 곳이 알아보기 힘들다고 지도를 만든 저조차 느끼고 있으며, 디자인 측면에서 이런 점을 보완을 해야 할 것 같습니다. D6283 (talk) 09:27, 14 December 2021 (UTC)Reply
D6283님 같은 분 덕분에 위키를 넘어 인터넷 전반적으로 발전하네요 ㅎㅎ;;; 저야 기술이 없어 사진이나 찍지만 언제나 부럽습니다. 날도 추워지지만 곧 있으면 2021년도 끝나가네요. 몸 단도리 잘 하시고 즐거운 크리스마스가 되셨으면 합니다.--고려 (talk) 12:03, 14 December 2021 (UTC)Reply
감사합니다. 정치 운동의 최전면에서 현장 사진을 찍는 모습도 대단합니다. (저는 그런 현장을 마주한다 하더라도 좋은 각도에서 사진을 찍을 엄두가 나질 않네요) 지도 제작을 위한 원시 데이터는 여기에 업로드되고 있으니 참고 바랍니다. D6283 (talk) 04:24, 15 December 2021 (UTC)Reply

뒤늦게 지도 리부트를 봤습니다. 정말 대단합니다 선생님. edit

이러한 감동을 제가 뭐라 말로 감히 표현도 못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관련 문서에는 다 추가했습니다.--고려 (talk) 09:42, 13 February 2022 (UTC)Reply

13도제 문서에 1914년 지도를 달아 주셨네요... 시간 나는 대로 1895년 23부제, 1896년 13도제 시행 직후도 만들어 봐야겠군요. 개인적으로 일제 조선 행정 구역 시각 자료에 1914년보다는 1917년이 나을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1914년 4월 경계가 생각보다 지저분하기도 하고 실제로 1917년까지는 그런 미처 정리 못 한 경계들을 부분적으로 조정하기도 해 와서, 개인적으로 일제 조선의 행정 구역 개편은 1917년 면제 시행으로 완료되었다고 보는 편입니다) D6283 (talk) 15:39, 13 February 2022 (UTC)Reply
뭐 사실 13도가 아니라고 할 수도 없으니 ㅋㅋㅋ 근데 이미지 벡터 파일도 만드시나요?--고려 (talk) 16:17, 13 February 2022 (UTC)Reply
깃발 같은 건 도안이 명확한 것만 만들고 있습니다. 바탕이 되는 자료가 조금만 틀어져 있어도 그 왜곡 때문에 복원이 힘들 것 같아서요 D6283 (talk) 01:35, 14 February 2022 (UTC)Reply
1896년을 만들어 봤는데요... 마을 단위로 따지려다 보니 이게 맞는지 틀리는지도 모를 정도로 경계가 장난 아니게 어지럽네요. D6283 (talk) 02:52, 18 February 2022 (UTC)Reply
혹시 어떤 자료를 근거로 사용하셨나요? 이런 건 신기해서용... 한번 뒤져보다가 찾은 1914년 부산부 정 지도입니다., 한국수산지에 등장하는 1910년 제주도 행정구역--고려 (talk) 06:07, 18 February 2022 (UTC)Reply
별것 없습니다. 저 시절만 해도 고을 사이 경계에 대해 근대적인 측량 자료가 없는 만큼, 이전에 만들었던 1910년대 지도를 토대로 거슬러 올라가서 고지도에 등장하는 지명에 맞추려 노력한 게 다입니다. D6283 (talk) 02:42, 19 February 2022 (UTC)Reply
감사합니다. 일본어판 문서에도 추가해봤습니다.--고려 (talk) 06:19, 19 February 2022 (UTC)Reply

HGIS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 edit

@D6283: HGIS(역사지리정보시스템)에 기반한 조선시대 전국지리지의 공간적 재현과 역사지도 제작은 조선시대 5대 전국지리지를 기본 자료원으로 삼았습니다. GIS 환경을 구축하고, 지리지를 수합하여 그 내용을 분석한 결과물입니다. 연구기간: 2017.09.01 ~ 2020.08.31이라는데 한번 확인해보셔도 좋을 거 같아요. 별게 다 있는데 조선 좌,우도도 구현했고 특수구역도 있고 뭐 신기하네요.--고려 (talk) 06:45, 20 February 2022 (UTC)Reply

공인된 학자들이 오래간 붙잡고 연구를 하니 2500건이나 되는 방대한 자료가 나오네요. 귀한 자료 찾아 주셔서 고맙습니다. D6283 (talk) 13:26, 20 February 2022 (UTC)Reply
20세기 초반 좌·우도 일단 이게 행정구역도라고 생각합니다. 몇 년도인지는 명시하지 않아 아쉽지만 그래도 일단 행정구역도를 제작하시는 분에게는 이게 가장 중요한 거 같네요. 나머지도 뭐 뒤져보면 많네여...--고려 (talk) 15:57, 20 February 2022 (UTC)Reply

혹시 이번 대선 GIS 지도를 부탁해도 될까요? edit

지금 만들어진 지도는 단순화가 너무 심한데 돌이켜보니 D6283님이 만들어주셨던 재보궐 선거와 지방 선거 지도를 잘 만들어주셨길래 혹시 조심스럽게 부탁할 수 있을까요?--고려 (talk) 03:34, 10 March 2022 (UTC)Reply

지금 있는 시각 자료도 제가 보기엔 충분히 잘 만들어진 것 같아서 지금으로선 그다지 흥미가 없습니다만, 그래도 요청을 하셨으니 틈 날 때 만들어 보긴 하겠습니다. D6283 (talk) 04:01, 10 March 2022 (UTC)Reply
에이 그래도 D6283님께서 만들어주신 GIS 지도보단 아니죠. 재보궐 선거 때 고성능 지도를 보면서 감탄했습니다,,, 이번 조선 지도도 그렇고요. 아무래도 대선이니만큼 잘 부탁합니다.--고려 (talk) 17:04, 11 March 2022 (UTC)Reply
이번 지방선거 광역의회 선거구가 확정되는 대로 탄력받아서 그때부터 시작하려고 합니다. 지난 지방선거 때 자료들을 일전에 정리한다고 지워버린 것도 있어서... 기대하시는데 늦어지고 있어 죄송하다는 말씀 올립니다. D6283 (talk) 13:13, 20 March 2022 (UTC)Reply

감사합니다. edit

정말로 선거가 다가올 쯔믐에 선거구를 만들어주셨네요. 혹시 전국단위로 합쳐주실 수 있으신가요?--고려 (talk) 07:11, 1 May 2022 (UTC)Reply

전체를 다 담으려 하니 지역구별 크기 차이 때문에 디자인이 쉽지가 않네요. 답변 자체가 많이 늦은 점 사과드립니다. D6283 (talk) 06:37, 9 May 2022 (UTC)Reply
광역의회 무투표 당선자를 포함한 현재 상황입니다. [1] 막간을 이용해 기초의회 지도도 만들어 봤습니다. [2] 아무래도 선거 지도인지라 낙도는 어쩔 수 없는 경우 배제하는 방향으로 가게 되네요. 보시다시피 매수가 많은지라 선거 결과가 나오는 대로 업로드할 생각이고요. (SVG로 내보내고 구문 다듬는 것도 일이더라고요) 광역의회 전국 지도는 비례대표는 빼도 될까요? D6283 (talk) 08:16, 25 May 2022 (UTC)Reply
광역의회 비례대표는 이런 식이나 여러 표현방법이 있는 거 같긴 합니다. 근데 빼는 게 좋다고 한다면 어쩔 수 없네요.--고려 (talk) 11:03, 25 May 2022 (UTC)Reply
배치를 고민하고 있었는데 저렇게 하면 되긴 하겠네요. D6283 (talk) 12:30, 25 May 2022 (UTC)Reply
기초의회 지도를 디자인하다 보니 저 지경까지 가네요(위 링크를 다시 눌러 보시면 바뀐 걸 보실 수 있습니다). 땅덩어리를 정당색으로 칠할 필요가 없으니 (실은 칠하기 어렵다고 해야 맞겠습니다만) 그거를 무투표 지역 정보로 활용할 수도 있고... 뭐 그렇습니다. 데이터는 수기입한 거라 오류가 있을 수도 있을 겁니다. D6283 (talk) 13:50, 2 June 2022 (UTC)Reply
뒤늦게 봤네요 고생이 많으십니다. 혹시 짙은 회색은 뭘 상징하는 건가요?--고려 (talk) 10:21, 4 June 2022 (UTC)Reply
짙은 회색이 무투표 선거구입니다. 비례대표 칸에도 같은 표시를 해 뒀습니다. D6283 (talk) 12:16, 4 June 2022 (UTC)Reply